분류 전체보기
-
중동지역의 인문적, 자연적 특성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8. 14:49
중동지역의 인문적, 자연적 특성 팔레스타인이라고 했을 때 아마 한 번도 안 들어보신 분은 없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도대체 팔레스타인이 무엇을 뜻하는 건지에 대해서는 여기가 지역인지 국가인지 사람들을 이야기하는지에 대해서 이게 도대체 뭘까 라는 의문점을 한 번쯤은 가졌었을 것 같은데요. 또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시면 저희가 팔레스타인이라는 뉴스를 TV나 인터넷 상에서 접했을 때 별로 좋은 이야기는 못 들어봤을 겁니다. 테러라든지 미사일 폭격, 가자지구가 고립됐다라든지 이런 여러 가지 분쟁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들려오는 단어가 바로 팔레스타인입니다. 그럼 팔레스타인은 왜 분쟁이라는 단어와 함께 엮여서 같이 들어야만 하는지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 게 이번 강좌라고 생각을 하면 됩니다. 팔레스타인 지역을 보시면요..
-
인종갈등의 사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백 갈등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8. 11:34
인종갈등의 사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백 갈등 인종 구분의 문제점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세계 여러 곳에서 인종갈등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흑인을 노예로 취급한 역사적 사실은 말할 것도 없고요, 인종주의가 등장하면서 백인우월주의가 등장하고 제국주의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세계 여러 곳에서는 인종갈등이 만들어집니다. 인종갈등이 노출됩니다. 인종갈등 중에서는 특히 백색 인종과 유색인종 간에 갈등이 많았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꽤 많은 식민지들이 독립을 하면서 인종문제는 많이 사라졌습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남아공이라고 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모잠비크에서는 흑백갈등이 큰 국가적인 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인종차별 국가의 대명사가 되었죠. 그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흑백갈등의 역..
-
오슬로 협정과 무장투쟁 역사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8. 08:35
오슬로 협정과 무장투쟁 역사 오슬로 협정의 중심은 무장 투쟁을 중지하겠다는 거예요. ”자 우리 아랍인들은 무장투쟁을 하지 않겠어 “ 대신 이스라엘이 뭔가 주는 게 있어야겠죠. 이스라엘은 ”우리 가살 수 있는 땅을 단계적으로 돌려줘 “ ”너네가 전쟁해서 다 하나씩 하나씩 가져갔으니까 다시 하나씩 하나씩 돌려줘 “ 자, 이게 이 협정의 중심이다 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평화의 공존과 땅의 교환, 평화를 갖는 대신 땅을 좀 내놓으면 우리가 잘 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게 이 오슬로 협정의 키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오슬로 협정 덕분에 아랍인들은 팔레스타인의 자치정부를 다음 해에 출범시켜요. 자치정부를 출범시키고, 그리고 가자지구와 웨스트 뱅크의 예리코라고 하는 도시를 중심으로 해서 자치를 하기..
-
유대인의 이주와 갈등, 유엔의 위임통치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7. 23:47
유대인의 이주와 갈등, 유엔의 위임통치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민족주의, 시오니즘이라는 것을 굉장히 널리 널리 퍼트려가고 있어요. 그즈음에 발생한 사건이 바로 제1차 세계대전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고요, 오스만 제국은 동맹국의 편에 서게 되죠. 동맹국 독일, 패전국으로 나중에 지목이 되게 됩니다. 독일, 오스트리아와 함께 패전국으로 지목이 되게 되고요. 그리고 연합국, 영국과 프랑스 등의 서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이 승전 국가가 되게 되죠. 이 부분은 나중에 팔레스타인의 문명에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됩니다. 팔레스타인에 영향을 미친 조약들 오스만 제국이 동맹국의 편에 서서 패전을 하게 되면서 영토를 상실하게 됩니다. 제국이었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은 굉장히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었..
-
인종과 인종구분의 문제점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7. 20:01
인종과 인종 구분의 문제점 인종과 갈등, 인종과 분쟁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 여기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인종에 대한 개념은 명확하게 규정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종이란 골격, 피부색, 머리와 코 형태 눈의 색깔 이런 것을 가지고 인류 집단, 인간 집단을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인종은 인류의 생물학적 구분을 뜻합니다. 오늘날 지구 상에 거주하고 있는 인류는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것처럼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들입니다. 오늘날 인류를 생물학적 기준에 의거해서 집단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문화인류학자들은 최소 3개 집단에서 200여 개 인종으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고 합니다. 19세기 초에 독일의 인류학자 조한 블루멘 바흐(JohannnF.Blumenbach)는 문화적 특징을 배제..
-
박해받던 유대인들의 역사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7. 13:29
박해받던 유대인들의 역사 박해를 받던 유대인들이 '여기 로마 지배하에서는 더 이상 못 살겠다.' 하면서 항거를 하기도 합니다. 몇 차례 항거하기도 하고 최후의 항거라고도 불리는 마사다 항전이라고 하는 일도 벌이기는 했으나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힘만으로 로마제국을 이기기에는 쉽지가 않죠. 그러다 보니 로마에서는 '너희들은 팔레스타인에서 살면 안 되겠어. 모여 살지 마.' 하면서 쫓아내게 되고요, 유대인들도 핍박을 견디다 못해서 팔레스타인 지역을 떠나기 시작을 합니다. 이렇게 반강제적으로 흩어지게 된 유대인들을 칭하는 말이 '디아스포라'라는 단어가 됩니다. 이제 로마가 망하게 되고 그러고 나서 들어온 것이 아랍제국들입니다. 아랍이 들어왔을 때는 아랍 사람들 그리고 이슬람교도들은 유대인들한테는 일정 부분 자유를..
-
민족과 언어 관계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7. 10:02
민족과 언어 관계 민족과 민족국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일반적으로 민족, 민족의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중요한 요소가 언어고요. 두 번째로 중요한 요소가 종교입니다. 언어가 왜 첫 번째로 중요하냐 하면 언어는 우리 인간의 의사를 전달하는 기본적인 도구 아닙니까? 우리 인간의 의사가 전달된다는 이야기는 이걸 좀 확대시키면 집단의 의사가, 집단의 문화가 언어를 통해 전달이 되는 겁니다. 따라서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면 동일한 집단 즉, 집단의 동질성을 갖게 되는 것이죠. 집단의 동질성. 다른 말로 민족성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언어가 같으면 하나의 민족으로 우리가 구분하는 겁니다. 왜냐하면 언어가 그 집단의 문화를 계승하고 전파시키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
-
민족과 종교 관계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7. 08:03
민족과 종교 관계 민족집단의 속성, 또는 민족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로 중요한 요소는 종교입니다. 종교는 어떤 특정 집단의 문화생활 양식 예술, 정치, 사회제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어떤 집단의 정체성 형성과 강화에 아주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해도 틀리지가 않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유대교와 이슬람교입니다. 유대교는 유대인의 민족성을 유지하고 계승시키는 핵입니다.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에서 전 세계로 뿔뿔이 흩어진 디아스포라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람들은 유대교라고 하는 종교적 특징을 공유하면서 전 세계 유대인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이 사람들이 나중에 조국 귀환 운동을 벌여서 제1차 세계대전 전에 팔레스타인으로 들어온 것이었죠.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만의 국가를 만들어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