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국가 형성을 위한 쿠르드 족의 노력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27. 17:04
국가 형성을 위한 쿠르드 족의 노력 쿠르드족들이 그러면은 기원전 2000년 전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어떻게 순환의 역사를 가지고 왔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국가를 세우기 위해서 현재까지도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쿠르드족들은 고원지대에 살아요. 산악 고원지대. 이란 고원, 아니면 터키의 아나톨리아고원, 카푸카스 산맥이라 불리는 카푸카스 산맥, 이런 굉장히 높은 지대에 살고 있습니다. 고도 3000m 이상의 고원지대에 사는 이러한 사람들인데요. 매우 높은 산악지대에 살다 보니, 이 사람들은 집단생활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을 가졌다 라고 보시면 돼요. 같이 농경을 하면서 넓은 영역에 걸쳐서 땅을 지키고 이렇게 사는 게 아니라 이 사람들은 여기저기 유랑을 하면서 조금씩 농..
-
전세계 분쟁으로 인한 영향과 상황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23. 21:03
전 세계 분쟁으로 인한 영향과 상황 예맨의 내전 때문에 제주도로 들어온 500여 명의 난민이 발생한 것입니다. 지금 현재 예멘은 북예멘과 남예멘으로 나누어서 종파 간의 차이 즉 북부를 중심으로 한 시아파 세력, 남부를 중심으로 한 수니파 세력에 누가 뒤에서 서포트를 하고 있냐면은 북예멘 시아파는 이란이 도와주고 있고 남예멘 수니파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도와주고 있습니다. 사실은 예멘이라고 하는 땅을 놓고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격돌하는 반 국제적인 전쟁을 치르고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예멘 내전처럼 내전이나 분쟁은 하나의 요인 때문에 일어나는 문제도 있지만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 중층적으로 얽히고설켜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분쟁과 내전을 정확하게 이해하려고 하면 공부를 좀 많이 해야 하는 것입..
-
세계의 분쟁과 갈등지역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9. 22:03
세계의 분쟁과 갈등지역 오늘날 우리는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지구촌은 하나의 가족과 같은 하나의 마을과 같은 그런 글로벌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소식을 월드 뉴스라고 하는 이름으로 매일 그것도 실시간으로 접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들려오는 월드 뉴스 중에서 우리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지구촌 여러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는 그런 뉴스가 있고 그런 뉴스 중에서 우리의 이목을 끄는 그것은 분쟁과 갈등, 내전과 테러로 많은 사람이 죽었고 또 그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고 난민 신세가 되어서 구호의 손길을 기다린다는 뉴스가 그것입니다. 분쟁과 갈등, 내전과 테러에 관한 뉴스를 접하면서도 우리는 그 원인을 잘 알지 ..
-
민족의식 형성과 민족 문제 발생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9. 19:42
민족의식 형성과 민족 문제 발생 어떤 집단의 언어적 특성, 어떤 집단의 종교적 특성, 여기서 만들어진 동질성. 언어적 동질성, 종교적 동질성을 계속 가지게 되면 집단의 정체성이 만들어지는 것이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민족성, 민족의식이 이런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민족성이나 민족의식이 축척되고 만들어지고 강화되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이 민족의식은 비선택적이라는 사실입니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어떤 민족의식은요 어떤 개인이 어떤 민족성을 가지고 싶어서 갖는 게 아니라 그냥 저절로 태어나면서부터 갖게 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어디에서 태어나느냐 어떤 땅에서 태어나느냐 어느 지역에서 태어나느냐 하는 것입니다. 태어나면서 민족성을 자연스럽..
-
알리야 현상과 이스라엘 국가 선포의 역사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9. 11:59
알리야 현상과 이스라엘 국가 선포의 역사 유대인들이 대규모로 팔레스타인으로 들어오게 된 현상을 알리야(Aliya)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수차례의 알리야가 벌어지기 시작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요. 1500년대에는 한 5천여 명 밖에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는 유대인이 없었는데, 1차 대전이 벌어지고 나서 6만여 명의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이 살게 되고, 전쟁이 끝나고 나니 거의 3배로 불어나서 17만 명이 살게 되고, 2차 세계 대전 쯤되면 47만 명,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나서는 약 65만 명의 유대인들이 여기에 살기 시작하게 된 거예요. 팔레스타인에 아랍인이 쭉 살고 있었는데, 굉장히 소수의 유대인들만 살고 있었던 곳에 시오니즘이 여기저기 퍼지고, 사람들이 "우리의 민족적 고향으로 돌아가야겠다"는 인식을 하..
-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의 역사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9. 07:29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의 역사 팔레스타인에 어떻게 해서 유대인들이 들어와서 살게 되었는지를 이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건 성경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히브리인들의 조상인 아브라함한테 신께서 너희에게 내가 땅을 주니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으로 가서 살아라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면서 이 아브라함과 그의 친족들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현재 이라크 지역입니다. 이라크 지역에서부터 시작을 해서 팔레스타인으로 이주를 해옵니다. 점차 점차 이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이주를 해오고 가나안으로 이주를 해온 것입니다. 가나안으로 이주해오고 일부는 가나안으로 정착을 하고 일부는 이집트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원래부터 여기에 살던 사람들은 아니었으나, 선주민들이 이전의 자신들의 조상들이 기원전 2,000여 년쯤에 이주..
-
쿠르드 족의 분리 독립과 국가 형성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8. 23:51
쿠르드 족의 분리 독립과 국가 형성 쿠르디스탄 분리 독립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쿠르디스탄, 쿠르드족 아마 낯 서신 분들도 있을 텐데요. 쿠르드족이라고 하는, 쿠르드인들이라는 민족이, 중동지역에 많이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이 다른 국가에 섞여서 살고 있는 상황인데요. 현재 아직도 우리는 우리의 국가를 만들고 싶어라고 하는 의지를 조금씩 표명하는 민족이 쿠르드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팔레스타인을 들어가기 전에 중동에 대해서 간단히 얘기했었죠. 그때 중동에 대해 얘기를 할 때, 아 중동에는 아랍인들이 많아,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인들이 많다 라는 얘기를 했었는데, 중동에는 아랍인들만 사는 게 아니라요, 다른 민족들도 섞여서 함께 살고 있습니다. 물론, 아랍인들이 많기는 해요. 그래서..
-
중동 지역의 역사와 특징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8. 18:57
중동 지역의 역사와 특징 민족적으로도 아랍인이고 언어적으로도 아랍어라고 하는 두 가지 공통성을 가지고 있고요. 그리고서는 600년대에 이슬람교가 이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해서 퍼져나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서 이슬람교를 먼저 받아들이는 지역이 이 중동지역이 돼요 그 세 가지 공통성을 가지게 됩니다. 아랍어 아랍 쪽 그리고 이슬람교 굉장히 자기 자신들의 정체성이 강한 지역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이런 민족성을 시작으로 한때는 아랍민족주의라는 것이 성행했던 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들어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 새로 등장한 이미지가 뭐냐 하면 석유, 천연가스 자연 지하자원의 보고로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석탄 이후에 새로 사용하게 된 에너지원이 석유가 되죠. 이 석유를 사람들이 활발하게 사용하면서 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