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르드 족의 분리 독립과 국가 형성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8. 23:51
쿠르드 족의 분리 독립과 국가 형성
쿠르드 족의 분리 독립과 국가 형성 쿠르디스탄 분리 독립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쿠르디스탄, 쿠르드족 아마 낯 서신 분들도 있을 텐데요. 쿠르드족이라고 하는, 쿠르드인들이라는 민족이, 중동지역에 많이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이 다른 국가에 섞여서 살고 있는 상황인데요. 현재 아직도 우리는 우리의 국가를 만들고 싶어라고 하는 의지를 조금씩 표명하는 민족이 쿠르드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팔레스타인을 들어가기 전에 중동에 대해서 간단히 얘기했었죠. 그때 중동에 대해 얘기를 할 때, 아 중동에는 아랍인들이 많아,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인들이 많다 라는 얘기를 했었는데, 중동에는 아랍인들만 사는 게 아니라요, 다른 민족들도 섞여서 함께 살고 있습니다. 물론, 아랍인들이 많기는 해요. 그래서 중동에 3대 민족이라고 있어요. 3대 민족이라고 부를 때는 우리가 가장 먼저 치는 것이, 아랍인들이죠. 아무래도 인구수도 많고요. 모두 다 아랍어를 사용하고요. 여기에 토착해서 살고 있었던 사람들이기 때문에. 아랍인들 이 사람들이 아라비아반도부터 시작해가지고 주변 지역으로 뻗어 나가서 많이 거주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민족 2개의 주요 민족이 있는데요. 하나는 투르크족, 오스만 제국을 성립했었던 오스만 튀르크라고 부르죠. 그 투르크족입니다. 이 사람들은 투르크어를 모어로 삼고 있는 민족이고요. 현재는 터키를 중심으로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3번째 민족은 페르시아인, 우리가 이란 사람들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3번째 민족으로 보시면 돼요. 그래서 중동에는 3개의 주요 민족이 있는데, 우리 쿠르드족은 주요 민족은 아니지만, 4번째로 사이즈가 큰 굉장히 인구가 많은 민족 집단으로 보시면 됩니다.
쿠르드족의 국가 형성 염원
이렇게 사이즈가 어느 정도 되는 민족 집단이 국가를 이루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자신들의 민족 국가를 만들고 싶어 하는 염원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쿠르디스탄은 쿠르드인들이 사는 그런 곳을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쿠르드 인들이 많이 사는 곳. 그래서 쿠르디스탄, 우리가 구소련 지역 그 주변 지역을 보면은, ~스탄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이 좀 많은 것을 알 수가 있어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이라고 해서 ~스탄 이란 이름으로 끝나게 되는데, 그런 민족이 사는 땅 해서 누구의 땅이라는 이름 지어줄 때 스탄이라는 말이 많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쿠르드족들이 많이 사는 곳, 쿠르디스탄이라고 불러요. 쿠르드족들이 어디 많이 사느냐, 이 사람들은 고원지대에 걸쳐서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의 국경을 기준으로 봤을 때 쿠르드족들은 터키의 동부지역부터 시작해서 시리아, 이라크, 이란, 그리고 아르메니아 일부 지역까지 해가지고 그 고원지대에 널리 걸쳐서 살고 있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쿠르드족들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한 2000여 년 전까지로 넘어가요. 그렇지만 이 사람들이 제대로 된 국가를 세웠던 기간은 굉장히 짧기 때문에 한 400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제대로 된 독립국을 세우지 못한 그러한 민족으로 보시면 됩니다.
중동의 집시
그랬기 때문에 중동의 집시라고 하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 사람들이 그러면 전혀 국가를 설립하지 않았냐 그건 아니구요. 잠깐 설립했던 적도 있었고요. 그리고 상대적으로 최근에도 독립 국가를 건설할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습니다. 쿠르드족들이 많이 사는 그 쿠르디스탄 그 지역을 점유하고 있었던, 지배하고 있었던 제국이 오스만제국이었잖아요? 그 오스만 제국이 무너지면서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그 지역을 다시 분할하는 조약을 맺을 때 쿠르드족들의 민족국가가 약속된 적이 있었어요. 약속이 되기는 하였으나, 강대국들 사이의 이해관계가 얽히고설키면서 쿠르드족들은 다시 한번 국가를 건설하지 못하는 이런 불운을 맞게 됩니다. 그리고 여태까지도 국가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어요.
'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야 현상과 이스라엘 국가 선포의 역사 (0) 2022.06.19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의 역사 (0) 2022.06.19 중동 지역의 역사와 특징 (0) 2022.06.18 중동지역의 인문적, 자연적 특성 (0) 2022.06.18 인종갈등의 사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백 갈등 (0)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