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대인의 이주와 갈등, 유엔의 위임통치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2022. 6. 17. 23:47
유대인의 이주와 갈등, 유엔의 위임통치
유대인의 이주와 갈등, 유엔의 위임통치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민족주의, 시오니즘이라는 것을 굉장히 널리 널리 퍼트려가고 있어요. 그즈음에 발생한 사건이 바로 제1차 세계대전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고요, 오스만 제국은 동맹국의 편에 서게 되죠. 동맹국 독일, 패전국으로 나중에 지목이 되게 됩니다. 독일, 오스트리아와 함께 패전국으로 지목이 되게 되고요. 그리고 연합국, 영국과 프랑스 등의 서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이 승전 국가가 되게 되죠. 이 부분은 나중에 팔레스타인의 문명에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됩니다.
팔레스타인에 영향을 미친 조약들
오스만 제국이 동맹국의 편에 서서 패전을 하게 되면서 영토를 상실하게 됩니다. 제국이었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은 굉장히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었는데요. 자신들의 땅을 전부다 승전국들에게 나눠주고요. 자신들은 원래 가지고 있었던 트루크들의 본향인 터키만을 남기고 다 뺏기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영국과 프랑스 등의 서구 연합국들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여러 가지 전략들을 펼치게 되는데요. 팔레스타인에 영향을 미친 협정, 조약들이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후사인-맥마흔 협정 혹은 조약이라고 불리는데요. 이것은 2년여 동안 영국의 외교관과 아랍의 메카의 수호자라고 불렸던 후사인 사이에 편지가 10여 차례 왔다 갔다 합니다. 10여 차례 편지가 왔다 갔다 하면서, 영국에서 제안을 한 것이 아랍 사람들이 영국이 이기는 데 도움을 주게 되면, 즉 오스만 튀르크에 반대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랍국가를 세우는 데 도움을 주겠다고 약속을 하게 됩니다. 아랍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믿습니다. 특히 저 오스만튀르크는 같은 이슬람을 믿는 사람들이었으나, 이 사람들은 투르크 족이 주축이 되는 사람들이지, 아랍 쪽 사람들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이 사람들은 우리는 영국 편에 서야지라고 하면서 오스만 족에 반대하는 시위를 곳곳에서 펼치게 됩니다. 이것은 자신들의 국가를 만들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서 행동을 옮긴 것이고요. 그리고 영국은 프랑스와 협정을 하나 맺게 되는데요, 사이크스-피코 협정이라고 불리는 협정을 맺게 되는데, 이 둘 사이에 전쟁에 이기게 되면 중동지역을 나눠갖는 것이라는 협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협정은 나중에 그대로 이행이 돼서 전쟁이 끝나고 나서 중동지역을 나중에 영국과 프랑스가 관리하게 되는 위치로 서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정적인 선언이 하나 있었는데요. 벨푸어 선언이라고 불립니다. 이스라엘이 성립될 수 있게 된 기반이 됩니다.
벨푸어 선언
이 벨푸어 선언은 영국의 외무부 장관인 벨푸어가 이스라엘의 지도자 중 한명이었던 영국의 로스 차일에게 보낸 서한에서 시작이 됩니다. 드이 벨푸어 선언이 화면에 보이고 있는데요, 로스차일드한테 벨푸어가 "우리는 유대인들이 national home을 만드는 것을 굉장히 지지하고, 그것을 정말로 잘 이해하고 있다"라고 이야기합니다. 그것을 어디에 짓는가 하면 팔레스타인에 짓겠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제 이 상황을 유대인들이 봤을 때, "오, 영국이 우리의 민족국가 성립을 굉장히 지지해주는구나"라고 이해할 수밖에 없었죠. 유대인들이 이때 당시 유럽에서 금융자본을 굉장히 많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도 어쩔 수 없이 이 사람들을 지지해야 하는 입장에 서게 된 것이죠. 그런데 그 뒤를 읽어보면, (빨간색 선과 같이) "그곳에 이미 살고 있었던 비유대인들에 대해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라는 비상식적인, 두 개가 같이 존립할 수 없는 문장이 오게 됩니다. 유대인들은 당연히 앞부분에 방점을 찍게 되었고, 영국이 전쟁에 이기면 국가를 세울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된 것이죠. 이 벨푸어 선언은 후사인 맥마흔 사이에 오고 갔던 서신과 굉장히 배치되는, 서로 반대되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벨푸어 선언이 등장을 하고, 그 이전에 이미 시온주의가 등장을 하고 나서부터 유대인들은 점점 더 팔레스타인으로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세계 지리, 세계 역사, 분쟁 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종갈등의 사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백 갈등 (0) 2022.06.18 오슬로 협정과 무장투쟁 역사 (0) 2022.06.18 인종과 인종구분의 문제점 (0) 2022.06.17 박해받던 유대인들의 역사 (0) 2022.06.17 민족과 언어 관계 (0) 2022.06.17